한국문학 번역전문가 한국에 머물며 번역활동에 전념
한국문학 번역전문가 한국에 머물며 번역활동에 전념
○ 한국문학번역원(원장 윤지관)은 한국문학번역전문가가 국내에 머물며 번역작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국문학 번역전문가 레지던스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올해에는 6개 언어권의 최고급 번역가 9인이 2~4개월 동안 한국에 머물며 작가와의 만남, 문학기행 등을 통해 한국문학작품에 대한 이해를 보다 심화시키고 한국문학 번역활동에 전념하게 된다.
○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번역가 중에는 뛰어난 번역으로 한국문학을 현지에 소개한 공로가 널리 알려져 있는 독일어권 번역가 헬가 피히트(전 홈볼트대 코리아 연구소 소장)와 영어권 번역가 최양희(전 호주국립대 아시아∙쩽贄聆逵� 교수) 및 중국어권 번역가 한매(산동대학 한국어학과 부교수), 일본어권 번역가 아오야기 유우꼬(코리아문고 경영)등 한국문학번역상 수상자도포함되어 있다.
○ 고은 시인의 <순간의 꽃>을 이탈리아어로 번역한 빈첸자 두르소(베네치아 카포스카리대학 한국어문학 교수), 박완서 작가의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를 영어로 번역한 스티븐 엡스타인(뉴질랜드 빅토리아대학 교수), 이문열 작가의 <시인>을 중국어로 번역한 한매, 황석영 작가의 <오래된 정원>을 일본어로 번역한 아오야기 유우꼬 등 이들 최고급 한국문학 번역가들이 한국에 머물며 번역을 위한 자료를 조사하고 작가와 만나 작품에 대해 논의하는 과정은 아리랑 TV를 통해 다큐멘터리로 기록되어 해외 시청자들에게도 소개될 예정이다.
○ 이들 최고급 번역가들의 한국문학 번역활동이 세계독자들이 한국문학의 무한한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해 본다. <한국문학 번역전문가 레지던스 프로그램>은 기존 번역가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번역 후속세대에 대한 동기부여 차원에서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한국문학번역전문가 레지던스 프로그램> 참여번역가 명단
성명 |
언어권 |
국적 |
소속 |
번역서 |
비고 |
최양희 |
영어 |
호주 |
전 호주 국립 캔버라대학 동양학 교수 |
<한중록>, <허난설헌시선집> (번역상 수상), <열하일기> 등 |
2005년 제7회 한국문학번역상 번역상 수상 |
스티븐 엡스타인 |
영어 |
미국/뉴질랜드 |
뉴질랜드 빅토리아대학 교수 |
<모순>,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등 |
|
헬가 피히트 |
독일어 |
독일 |
전 훔볼트대학 한국학과 교수 |
<그대 아직도 꿈꾸고 있는가>(번역상 수상), <토지> 1~6권 등 |
1995년 제2회 한국문학번역상 가작 수상 |
엘케 골셔트 정 |
독일어 |
독일 |
본대학 한국어학과 강사 |
<안중근 의사의 평화를 위한 고백>, <나도향 단편집>, |
|
빈첸자 두르소 |
이탈리아어 |
이탈리아 |
베네치아 카포스카리대학 한국어문학 교수 |
<기생시조선>, <아내의 상자>, <구상시선>, <순간의 꽃>, <원미동 사람들> 등 |
|
이바나 그루베로바 |
체코어 |
체코 |
프리랜서 번역가 |
<님의 침묵>, <카인의 후예>, <선가귀감>, <한시선집> 등 |
|
한매 |
중국어 |
중국 |
산동대학 한국어학과 부교수 |
<을화>, <무녀도>(번역상 수상), <시인> 등 |
2003년 제6회 한국문학번역상 수상 |
허연순 |
중국어 |
중국 |
연변작가협회 부주석 |
<옛우물>, <짐승의 시간> 등 |
|
아오야기 유우꼬 |
일본어 |
일본 |
코리아문고コリア文庫 경영 |
<오래된 정원>(번역상 수상), <한국의 민족문학론>, <통일시대의 한국문학론>, <고은 시집> 등 |
2005년 제7회 한국문학번역상 번역대상 수상 |
다음 글 | 세계번역가대회가 9월 중순 서울에서 열린다 |
---|---|
이전 글 | 김태우 저/박연복 역,『놀라운 벌레세상』중국 출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