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영원한 제국 [Yeongwonhan jeguk]
El Imperio Eterno
저이인화
번Song Byeong-Sun,MARIO ALONSO ARANGO MORALES
영어
한국문학번역원 번역아카데미 특별과정 최종 수강대상자 명단
한국문학번역원 번역아카데미 특별과정 최종 수강대상자 명단 2009년 한국문학번역원 번역아카데미 특별과정에 관심을 갖고 신청해주신 많은 분들께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1차 서류심사와 2차 필기시험 및 면접심사를 통해 아래와 같이 최종 수강대상자가 선정되었습니다. 효과적인 수업진행을 위하여 언어권 별 수강인원을 제한한 관계로 더 많은 분들을 모시지 못한 점에 대해 양해를 부탁 드리며, 추후로도 한국문학번역원 번역아카데미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를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최종 수강대상자 명단 언어권 합격자 (무순) 영어권 비비안 리, 김난희, 곽지원, 오준석, 고효진, 이은경, 정재호, 천별이, 박정준,심연희, 권현민, 김보람, 이주은 프랑스어권 이정환, 김혜련, 차향미, 이승신, 문소영, 정현주, 이주현, 황지영 독일어권 주미경, 강성운, 배인영, 김동훈, 박지영, 도영인, 한수정, 강승현, 조아라 스페인어권 김미경, 김선영, 김지영, 임보영, 김동주, 백혜경, 최우임, 송혜근, 정지혜, 김동환, 문서연, 박채연 러시아어권 울리아나 코뱌코바, 조야 파제스카야, 옥사나 김, 니콜라이 프로토포포프,폴리나 한, 나지야 이 중국어권 장소, 한경아, 전기옥, 최옥화, 박미숙, 축취영, 김혜정 일본어권 김정, 오순아, 장명미, 다카하시 치카, 아즈마 다카시, 신주화, 하세가와 리사 ◊등록 - 기간 : 2009년 3월 25일 (수) - 3월31일 (화) - 등록비 : 10만원 - 등록방법 : 계좌입금 (신한은행 100-024-818410 예금주 : 한국문학번역원) ◊오리엔테이션 및 개강 : 2008년 4월 2일 (목) 18:30, COEX 아셈홀 회의실 (구체적인 장소는 추후 개별 연락 예정) ◊ 문의 : 교육연구실 이유미 tel. 02-6919-7789, email. leeyoomi@klti.or.kr ※ 선발심사 교수진 언어권 담당교수 소속 비고 영어권 안선재 (전)서강대 영문과 영국 Univ. of Oxford 영문학 박사 대한민국문학상 번역부문대상 (1991), 제3회 대산문학상번역부문대상 (1995) 등 수상 마종기 시선집 'Eyes of dew' (2006, White Pine Press)등 다수의 번역서 출판 불어권 최미경 이화여대 통번역대학원 파리4대학 현대불문학 박사 한불문화상 (2006), 대산문학상 번역부문대상(1999) 등 수상 황석영作 '한씨연대기 Monseiur Han' (2002, Zulma) 등다수의 번역서 출판 독어권 안드레아스 쉬르머 서울대 국문과 박사과정 비엔나대학교 독문학 박사 비엔나 대학교 동아시아학 연구소 한국학과 강사 '문학수첩' 2006년 겨울호 '번역가로서의 김수영' 기고 서어권 송병선 울산대 스페인중남미학과 콜롬비아 하베리아나 폰티피시아 대학교 중남미 문학 박사 이인화作 '영원한 제국 El Imperio Eternal' (2007, Editorial Verbum) 등 번역서 출판 노어권 김현택 한국외대 통번역대학원 미국 캔자스주립대학교 슬라브어문학과 문학박사 '춘향전' (2003, Бонфи) 등 번역서 출판 중어권 손지봉 이화여대 통번역대학원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문학박사 강석경作 '숲속의 방 深林之屋' (2005, 译綵現�) 등 번역서 출판 일어권 김순희 이화여대 통번역대학원 동양대학 일본문학 박사 법정스님作 '무소유 無所有' (2001, 東方出版) 등 번역서 출판
한국문학 번역아카데미 특별과정 개강 ○ 한국문학번역원(원장 윤지관)은 4월 3일 (목) 저녁 6시 반에 한국문학번역원 교육관에서 한국문학 번역아카데미 특별과정 개강식을 갖는다. ○ 번역능력과 한국문학 번역에 대한 관심을 지니고 있으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는 이번 과정에는 7개 언어권(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 중국어, 러시아어, 일본어) 107인이 신청하였고, 샘플번역을 포함한 서류 심사와 면접심사를 거쳐 65인의 수강대상자들이 선정되었다. 뛰어난 언어능력을 지닌 예비 번역가들이 대거 신청하여 작년 ‘한국문학 번역가 과정 1기’때보다 그 열기가 한층 높았다. 외국에 체류 중인 주부에서부터 국내 통번역대학원 출신 전문번역가까지 다양한 이력을 지닌 수강대상자 중 20여인이 한국어에 능통한 대상언어 원어민으로 앞으로 현지에서의 자발적인 한국문학 수용의 기반을 다지는 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일부 언어권에 대하여 한정된 학생들에게 실무번역 위주의 교육을 제공하고 있는 국내 대학원과 달리, 한국문학 번역아카데미 특별과정은 수강대상자의 국적 및 학력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또한 한국문학 및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번역실습이 가능하도록 한국문학 강의 및 작가초청강연, 문학기행, 문화체험 프로그램 등이 포함되어 있어 전문적인 한국문학 번역교육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 한국문학 번역아카데미 특별과정은 지난 해 ‘한국문학 번역가 과정 1기’에 이어서 작품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문학과 문화예술을 해외에 소개할 수준 높은 전문 번역가를 양성하기 위해 신설된 한국문학번역원 번역아카데미의 3개 과정 가운데 금년도 첫 프로그램으로, 24주 (1학기 4/3-6/19, 2학기 9/4-11/20) 동안 해당 분야 전문가의 지도아래 문학텍스트에 대한 번역실습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지게 된다. (언어권별 번역실습 지도 교수진 약력 별첨) ○ 언어권별 번역실습 지도 교수진 영어 안선재 서강대 영문과 영국 Univ. of Oxford 영문학 박사 대한민국문학상 번역부문대상 (1991) 제3회 대산문학상번역부문대상 (1995) 제30회 펜번역문학상 (1996) 마종기 시선집 'Eyes of dew' (2006, White Pine Press)등 다수의 번역서 출판 불어 최미경 이화여대 통번역대학원 파리 통역번역대학원 번역과 석사/파리4대학 현대불문학 박사 한불문화상 (2006), 대산문학상 번역부문대상(1999) 황석영作 '한씨연대기 Monseiur Han' (2002, Zulma) 등 다수의 번역서 출판 독일어 안드레아스 쉬르머 서울대 국문과 박사과정 비엔나대학교 독문학 박사 비엔나 대학교 동아시아학 연구소 한국학과 강사 서울대 국문과 박사과정 '문학수첩' 2006년 겨울호 '번역가로서의 김수영' 기고 스페인어 송병선 울산대 스페인중남미학과 콜롬비아 하베리아나 폰티피시아 대학교 중남미 문학 박사 이인화作 '영원한 제국 El Imperio Eternal' (2007, Editorial Verbum) 등 번역서 출판 중국어 손지봉 이화여대 통번역대학원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문학석사 강석경作 '숲속의 방 深林之屋' (2005, 译文出版社) 등 번역서 출판 러시아어 김현택 한국외대 노어과 미국 캔자스주립대학교 슬라브어문학과 문학박사 '춘향전' (2003, Бонфи) 등 번역서 출판 일본어 김순희 이화여대 통번역대학원 동양대학 일본문학 박사 법정스님作 '무소유 無所有' (2001, 東方出版) 등 번역서 출판
한국문학번역원 번역아카데미 특별과정 최종 수강대상자 명단
한국문학번역원 번역아카데미 특별과정 최종 수강대상자 명단 한국문학번역원 번역아카데미 특별과정에 관심을 갖고 신청해주신 많은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1차 서류심사 및 2차 면접심사를 통해 아래와 같이 최종 수강대상자가 선정되었습니다. 효과적인 수업진행을 위하여 언어권별 수강인원을 제한한 관계로 더 많은 분을 모시지 못한 점을 양해하시기 바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최종 수강대상자 명단 언어권 이 름 영어권 (11인) 신상일, 김지혜, 정재원, 오선영, 김희성, 김세은, 홍정인, 변수연, 조윤나, 손수민, 조은진 프랑스어권 (9인) 김혜련, 이성신, 김희라, 이보경, 최의선, 차향미, 김옥진, 전혜정, 황희영 독일어권 (8인) 강인숙, 이은희, 권영경, 조효원, 한수정, 한경희, 이영민, 조희진 스페인어권 (8인) 이경은, 이홍민, 김민숙, 성유진, 박세환, 오솔잎 마리아 필라르 알바레스, 마리아 규냐스 인수아 (한국문학 번역인력 연수지원사업 대상자) 중국어권 (9인) 강애영, 박춘섭, 신붕달, 요연, 요위위, 이향분, 김려화 이연, 유경자 (한국문학 번역인력 연수지원사업 대상자) 러시아어권 (5인) 한 폴리나, 자스굴 스마노바, 예 율리아, 쿠지나 쏘피아 박인나(한국문학 전문번역가 육성대상자) 일본어권 (12인) 이양민, 오영아, 박상휘, 이화정, 히로세 사치코, 하세가와 리사, 스즈키 준, 조숙위,김은선, 다카하시 치카, 민혜린 차윤선 (한국문학 전문번역가 육성대상자) ◊ 등록 - 기간 : 2008년 3월 24일 (월) - 3월28일 (금) - 등록비 : 10만원 - 등록방법 : 계좌입금 (신한은행 100-023-949726 예금주 : 한국문학번역원) ◊ 오리엔테이션 및 개강 : 2008년 4월 3일 (목) 18:30, 본원 지하 1층 교육관 ◊ 문의 : 교육연구실 이정근 tel. 02-6919-7751, email. marcos73@klti.or.kr ※ 선발심사 교수진 언어권 담당교수 소속 비고 영어 안선재 서강대 영문과 영국 Univ. of Oxford 영문학 박사 대한민국문학상 번역부문대상 (1991), 제3회 대산문학상번역부문대상 (1995) 등 수상 마종기 시선집 'Eyes of dew' (2006, White Pine Press)등 다수의 번역서 출판 불어 최미경 이화여대 통번역대학원 파리4대학 현대불문학 박사 한불문화상 (2006), 대산문학상 번역부문대상(1999) 등 수상 황석영作 '한씨연대기 Monseiur Han' (2002, Zulma) 등 다수의 번역서 출판 독일어 안드레아스 쉬르머 서울대 국문과 박사과정 비엔나대학교 독문학 박사 비엔나 대학교 동아시아학 연구소 한국학과 강사 '문학수첩' 2006년 겨울호 '번역가로서의 김수영' 기고 스페인어 송병선 울산대 스페인중남미학과 콜롬비아 하베리아나 폰티피시아 대학교 중남미 문학 박사 이인화作 '영원한 제국 El Imperio Eternal' (2007, Editorial Verbum) 등 번역서 출판 중국어 손지봉 이화여대 통번역대학원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문학박사 강석경作 '숲속의 방 深林之屋' (2005, 译文出版社) 등 번역서 출판 러시아어 김현택 한국외대 노어과 미국 캔자스주립대학교 슬라브어문학과 문학박사 '춘향전' (2003, Бонфи) 등 번역서 출판 일본어 김순희 이화여대 통번역대학원 동양대학 일본문학 박사 법정스님作 '무소유 無所有' (2001, 東方出版) 등 번역서 출판
2003년도 하반기 한국문학번역지원사업 지원대상자 선정
2003년도 하반기 한국문학번역지원사업 지원대상자 선정 0. 개 요 한국문학번역원(원장 진형준)은 12월 1일 2003년도 하반기 한국문학 번역지원 대상자로 총 16개 언어권(영어, 불어, 독어, 서어, 중국어, 일어, 노어, 몽골어, 헝가리아어, 유고어, 리투아니아어, 이탈리아어, 터키어, 스웨덴어, 몽골어, 베트남어) 36건을 선정했다. 1. 상시 지원신청제 운영 번역원은 한국문학의 해외소개라는 설립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고 번역가의 항시적인 번역작업이 가능하도록 번역지원을 상시화하였다. 작년까지의 년 1회 번역지원제도를 개선하여 번역지원신청을 상시 접수하되, 금년도의 경우 2회로 나누어 지원하고 있다. 이번 대상자 선정은 지난 4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접수된 16개 언어권 58건의 작품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2. 언어권별 및 장르별 선정건수 번역지원 선정대상자를 각 언어권별로 살펴보면 영어권 7건, 불어권 4건, 독어권 4건, 스페인어권 5건, 러시아어권 2건, 베트남어권 1건, 스웨덴어권 1건, 몽골어권 1건, 일본어권 1건, 터키어권 1건, 중국어권 3건, 이탈리아어권 1건, 헝가리어권 2건, 유고어권 1건, 리투아니어권 1건, 네덜란드어권 1건 등이다. 시기별로는 정약용의 "목민심서" 등 고전이 9건, 현대가 27건이다. 현대문학을 장르별로 보면 은희경의 "새의 선물" 등 소설이 22건, "고은시선" 등 시가 3건, "이윤택 희곡선" 등 희곡이 2건이다. 3. 고전 번역에 대한 높은 관심 이번 지원선정 대상자 중 특기할 만한 것은 고전에 대한 번역자들의 높은 관심이다. 총 36건의 지원대상건수의 1/4인 9건을 차지하고 있는 고전분야는 정약용의 "목심심서"와 같은 역사·철학서부터 김만중의 "구운몽" 등 한문소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작품이 선정되었다. 번역원은 고전번역에 관심을 유도하기 위해 그동안 영어권에 고전 지정도서를 선정하여 지정공모하여 왔다. 그런데 한국문학의 해외소개는 현대문학과 더불어 한국의 문화를 전반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고전도서의 번역이 균형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인식이 번역가로 하여금 고전 번역에 관심을 갖게 하는 요인이 되었다고 보인다. 번역원은 고전번역의 중요성을 환기하고 많은 번역가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고전 100선을 선정하여 내년부터는 모든 언어권에 걸쳐 고전의 소개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예정이다. 4. 심사과정 이번 심사는 원작의 우수성, 번역지원 신청자의 번역능력, 해외 현지에서의 수용 기대치 등을 기준으로 3차에 걸쳐 진행되었다. 5. 번역지원금 및 향후계획 각 지원대상자에게는 1,500만원의 번역지원금이 지급되며, 번역이 완료되면 해당 언어권의 현지출판사에서 출판할 예정이다. 번역원은 내년부터 고전 100선과 현대문학 중·장편소설 80선을 지정번역도서로 선정하여, 지금까지의 자유공모제와 함께 지정공모제를 병행하여 장기적으로 균형적인 한국문학의 해외소개를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연번 언어 번역자/공역자 신청작품명 (원작자) 1 영어 김동욱(성균관대 영문과 교수)/Richard Nichols 이윤택 희곡선(이윤택) 2 Maya Chun West(코리아 헤럴드 기자) 머꼬네 집에 놀러올래?(이만교) 3 이승아(UCLA 박사과정) 사씨남정기(김만중) 4 John Holstein(성균관대 영문과 교수) 한국현대단편선(김동리 외 다수) 5 최병현 (호남대 영문과 교수) 목민심서(정약용) 6 최양희(호주 Canberra대학 동양학 교수) 열하일기(박지원) 7 최종열(마이애미대학 시창작 석사과정)/David Schloss(마이애미 대학 영문과 교수) 어두워진다는 것(나희덕) 8 불어 김경희(한양대 유럽언어문화학부 교수)/ 이인숙/Stephane Coulon 이창동 소설선(이창동) 9 이병주(파리7대학 한국학과 교수)/Odile Charmeil 16세기 가사와 시조(송순 외) 10 최은숙(Le Havre대학 한국학과 부교수)/Pierre Chabal 이호철 단편선(이호철) 11 한경미(전문번역가)/Patrick Pidoux 이강백 희곡선(이강백) 12 독어 강승희(베를린 훔볼트대학 독문과 박사과정)/오동식/쟈이악 황석영 단편선(황석영) 13 - - 14 정민기(프리랜서 번역가)/Stefan Straub(독일 퀠른시 고등학교 교사) 멸치(김주영) 15 헬가 피히트(전 훔볼트대학 한국학과 교수)/한정화 토지 IV(박경리) 16 서어권 김창민(서울대 서문과 교수)/Pedro Shimose 만다라(김성동) 17 나송주(한국외국어대학 외국문학연구소 연구교수)/Cesar Espada Sanchez 구운몽(김만중) 18 박종욱(한국외국어대학 강사)/ Ana Hernandez 마네킹(최윤) 19 이선영(스페인어 통·번역 프리랜서)/Angela Perez Contreras 몽실언니(권정생) 20 조갑동(한서대 교수)/Bernardino M. Hernando 한중록(혜경궁 홍씨) 21 러시아어 김현택(한국 외국어대학 러시아어과 교수)/스타니슬라브 리 한국한시집I 22 함영준(단국대 러시아전공 교수)/이상윤 박완서 단편소설선(박완서) 23 중국어 김학철(서울대 중문학과 대학원 재학)/임명신 당신들의 천국(이청준) 24 박명애(중국 중한번역문학연구회 연구원)/구본기 어느 무정부주의자의 사랑(최수철) 25 박정원(한국외국어대학 외국문학연구소 연구교수)/방효하 새의 선물(은희경) 26 일본어 이노우에 아쯔시(島根縣立國際短期대학 교수) 영원한 제국(이인화) 27 베트남어 오은철(베트남 하노이 사범대 박사과정)/응우엔 응우엔 빙 삼대(염상섭) 28 몽골어 에르덴수렌 다와삼보(서울대 교육학과 박사과정 수료)/이종국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외(이문열) 29 스웨덴어 한인자(프리랜서)/Carola Hermelin(스웨덴 노벨도서관 수석사서) 고은시선(고은) 30 이탈리아어 Maurizio Riotto(나폴리 동양학 한국학과 교수) 홍길동전(허균) 31 터키어 하티제 쿄로울루(에르디예스대학 한국어문학과 강사)/서재만 김소월시선(김소월) 32 헝가리어 김보국(Xotvos Lorand대학 한국학과)/꼬바치 에디뜨 알렉산드라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조세희) 33 유진일(한국외국어대학 헝가리어과 교수)/Szuts Zoltan 황순원 단편선(황순원) 34 유고어 김지향(한국외국어대학 유고어과 강사)/미라요치치 오정희 단편선(오정희) 35 네덜란드어 임꺼 환 하르딩헌 엄마의 말뚝(박완서) 36 리투아니아어 서진석(에스토니아 타르투대학 비교민속학부 박사과정)/바이다스 야나비츄스 한국대표민담선집